세로 23.77m(78feet), 가로 8.23m(27feet)의 직사각형으로 이루어진다. 코트는 네트를 중심으로 2등분 된다. 네트는 지름 0.8cm(1/3inch)이하의 코드(Cor d)나 메탈 케이블(metal cable)로 매어달며 그 양쪽 끝은 지름 15cm(6inches) 이 하인 두개의 포스트(post)위를 넘겨서 매어진다. 이 포스트는 네트 코드 위보다 2.5cm(1inch)이상 높아서는 안된다.
각 포스트의 중심은 양쪽 사이드라인으로무터 각각 0.914m(3feet) 바깥쪽이 되며, 양 포스트의 높이는 코드의 윗 부분으로부터 지면까지 1.07m(3 feet 6 inch) 가 되도록 한다.
네트는 볼이 빠져나가지 않을 정도의 좁은 그물이어야 하며 2개의 포스트 사이의 공간을 완전히 메우도록 쳐야 한다. 네트의 높이는 중앙에서 0.914m(3feet)로 하 고, 그 지점에서 너비 5cm(2inch)이하의 흰색 스트랩(strap)으로 팽팽히 밑으로 당겨서 맨다.
네트를 칠 코드는 네트의 상부에서 양쪽 모두 균등하게 5cm(2inch) 이상 6.3cm(2 1/2 inch)이하의 흰색의 밴드로 씌워야 한다. 네트, 스트랩, 밴드 또는 싱글스 스틱에 광고물을 붙여서는 안된다. 코트의 양끝 및 양옆을 구분하는 라인을 각각 베이스라인(baseline)과 사이드 라 인(sideline)이라 부른다.
네트의 양쪽에 네트로부터 6.40m(21feet)거리에 이와 평행하게 서비스 라인을 긋는다. 서비스 라인과 사이드 라인에 둘러 싸인 부분을 센터 서비스 라인(center service line)으로 균등하게 2등분하여 서비스 코트(ser vice court)로 한다.
센터 마크는 베이스 라인으로부터 안쪽에 길이 10cm(4 inch), 너비 5cm(2inch)로 하고 베이스 라인과 직각으로 긋는다. 그 밖의 라인은 모두 너 비 2.5cm(1inch)이상 5cm(2inch)이하로 하되 베이스 라인 만은 너비 10cm(4inch) 까지 무방하다.
모든 측량은 라인의 바깥쪽으로부터 잰다. 라인은 모두 같은 색으로 그어야 한 다. 광고가 그 밖의 것을 코트 뒤에 붙이거나 놓을 때에는 그 물체가 흰색이나 노란색을 포함하지 않는 것이 좋다. 밝은 색은 선수들의 시야를 방해하는 경 우에 한해서만 사용할 수 있다. 코트 뒤에 앉아 있는 라인즈 맨(lines man)의 의자에 광고를 붙일 때에도 흰색이나 노란색을 쓰지 않는 것이 좋다.
NOTE : 데이비스 컵 또는 그 밖의 국제테니스연맹(ITF)의 공식선수권 대회에서는 베이스라인에서 뒤쪽으로 6.4m(21feet) 이상, 양 사이드라인으로부터 옆으로 3.66m (12feet) 이상의 공지가 있어야 한다. 라인즈맨의 의자를 놓을 경우에는 코트 뒤쪽으로 6.4m(21feet)이내, 코트 옆으로 3.66m(12feet)이내에 설치하되, 그 지역에서 안쪽으로 0.914m(3feet)이상 돌출되어서는 안 된다. | ||
코트의 경기용 퍼머넌트 픽스쳐라 함은 네트, 포스트, 싱글스 스틱 또는 메탈케 이블, 스트랩 및 밴드는 물론 코트의 백스톱(backstops) 및 사이드 스톱, 스탠드 주변의 고정 또는 임시 의자, 그 의자에 앉아 있는 엄파이어, 코트 위 또는 주변 에 있는 다른 모든 시설, 각자 자기 위치에 있는 엄파이어, 네트저지, 풋폴트 저 지, 라인즈맨 및 볼보이를 포함한다.
NOTE : 여기서 말하는 엄파이어란 이른바 '엄파이어', 코트 안으로 입장이 허가된 사람들 및 경기 운영을 위하여 엄파이어를 보좌하도록 지명된 모든 사람을 포함한다. | ||
볼은 표면이 고르게 둥글어야 하며 흰색 또는 노란색이라야 한다. 이음새가 있을 경우에는 솔기가 없어야 한다. 볼의 지름은 6.35cm(2 1/2inch)이상 6.67cm(2 5/8inch)이하,
또 8.165kg(18lb)의 압력을 가했을 때, 볼의 포워드 변형량은 0.56cm(0.22inch) 이상 0.74cm(0.29inch)이하, 원형으로의 리턴 변형량은 0.89cm(0.35inch) 이상 1.08cm(0.425inch) 이하여야 한다.
이 두 가지 변형의 수치는 볼의 가압축을 바꾸어 3차례 측정한 것의 평균치로서 각각 2회분 측정의 오차가 0.08cm(0.03inch)이상 되어선 안 된다. 해발 1,219m(4000feet) 이상의 높이에 있는 지역에서 경기를 할 경우에는 위에서 설명한 이외의 다른 2가지 타입의 볼을 사용할 수 있다.
첫 번째 타입의 볼은 바운드가 121.92cm(48inch) 이상 135cm(53inch) 이하가 되는 것을 제외하고는 위에서 서술한 것과 동일한 것인데, 이 볼은 내압이 외압보다 크다. 이런 타입의 볼을 흔히 가압볼이라 한다.
두 번째 타입의 볼은 바운드가 135cm(53inch) 이상 147cm(58inch) 이하인 것을 제 외하곤 위에 서술한 것과 동일한 것으로 이 볼은 내압과 외압이 거의 같고 특정한 경기의 고도에서 60일 이상 적응하게 해야 하는 것인데 이런 타입의 볼을 흔히 무압 또는 무가압볼 이라고 한다. 볼의 바운드, 크기, 변형량 테스트 방법은 모두 규칙 I에 있는 규정을 따라서 해야 한다. | ||
테니스 규칙에 의하여 플레이하는 경우 다음 사항에 적합하지 않는 라켓은 사용 할 수 없다. a) 라켓의 타구면은 평면이며 줄은 프레임에 연결해 서로 가로질러 십자로 교차 한 모양으로 얽어 매어야 한다. 또 줄을 매고 난 뒤의 형태는 전체적으로 균일해야 하고 특히 중앙부분의 밀도가 다른 부분과 달라서는 안 된다. 라켓 면에는 진동(vib ration)이나 줄의 마모를 억제하거나 방지하기 위한 합리적인 크기의 부착물 외에 는 아무것도 부착해서는 안 된다.
b) 라켓 프레임의 크기는 핸들을 포함하여 길이 81.28cm(32inch), 너비 31.75cm (12 1/2inch)를 넘어서는 안 된다. 줄이 매어진 면은 길이 39.37cm(15 1/2inch), 너비 29.21cm(11 1/2inch)를 넘으면 안 된다.
c) 프레임(손잡이 포함)에는 특별히 마모 또는 진동을 억제하거나 방지하기 위하여, 또는 중량을 분산시킬 목적에 한하여 기구나 부착물을 달 수 있다. 그 부착물의 크기나 위치가 합리적이어야 한다.
d) 손잡이를 포함해서 프레임 및 스트링에는 라켓의 모양을 현저하게 변형시킬 수 있거나 플레이중 중량을 변화시킬 수 있는 장치를 달아서는 안 된다. ] 국제 테니스 연명(ITF)은 라켓 또는 원형이 위의 각 항에 적합한 지의 여부, 플레이에 사용할 수 있는 지의 의문에 대하여 판정을 내려야 한다. 이와 같은 판정 은 ITF 자체가 솔선하여 하거나, 또는 플레이어, 용구 제조업자, 각국 테니스 협 회 및 그 멤버 중 성의 있고 관심을 갖고 있는 단체로부터의 신청에 의해 내려진 다. 이와 같은 신청 및 판정은 ITF에 의한 적절한 검사 및 청문의 절차에 따라 행 해야 하며, 이의 사본은 ITF 사무국으로부터 입수할 수 있다.
case 1. 라켓의 타구 면에 1세트 이상의 스트링을 맬 수 있는가? decision : 그럴 수 없다.
case 2. 스트링을 맨 면이 하나의 평면을 넘을 경우, 라켓의 스트링을 맨 모양이 일반적으로 균일하고 평면이라고 볼 수 있는가? decision : 그렇게 볼 수 없다.
case 3. 라켓의 스트링에 충격완충기구를 부착할 수 있는가? 할 수 있다면 어느 위치에 부착할 수 있는가? decision : 할 수 있다.
case 4. 플레이 도중 갑자기 라켓의 줄이 끊어졌을 때 그 라켓으로 계속 플레이 할 수 있는가? decision : 할 수 있다. | ||
플레이어는 네트를 중심으로 서로 반대쪽에 서고 처음 볼을 치는 사람을 서버, 받는 사람을 리시버라고 한다. case 1. 타구하려고하는 플레이어가 네트의 가상 연장선을 너을 경우 그 타구는 실점이 되는가? |
'테니스 '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테니스 라켓 그립의 올바른 이해 (0) | 2014.05.06 |
---|---|
[스크랩] 라켓보관 10계명 (0) | 2014.05.06 |
[스크랩] 발리~ 체크리스트 (0) | 2014.05.06 |
[스크랩] 손 감각이 둔한 날 그립 잡는법 (0) | 2014.05.06 |
[스크랩] 엘보 방지: 부드럽게 쳐도 파워 스핀 2배, 밀착 그립, 테니스 사이언스 (0) | 2014.05.06 |